건강관리
근육통과 두통이 같이 온다면, 흉쇄유돌근 목빗근 스트레칭
suganic
2025. 8. 3. 14:08
흉쇄유돌근(Sternocleidomastoid)은 목의 양쪽에 위치한 목빗근으로, 머리를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앞으로 숙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귀 아래에서 쇄골까지 이어지는 이 근육은 총경동맥과 추골동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목 건강과 혈류에 큰 영향을 줍니다.
1. 흉쇄유돌근의 기능과 해부학
흉쇄유돌근은 해부학적으로 두 갈래로 나뉘며, 목의 움직임과 자세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.
- 흉골두: 흉골의 윗부분에서 시작
- 쇄골두: 쇄골 내측에서 시작
이 두 근육은 귀 뒤 유양돌기에 부착되며, 머리의 회전과 목의 굽힘에 관여합니다. 흉쇄유돌근이 긴장하면 목 통증, 두통, 현기증, 편두통까지 유발할 수 있으며, 특히 거북목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.
2. 흉쇄유돌근 통증의 주요 원인
- 장시간 컴퓨터·스마트폰 사용
- 고개를 한쪽으로 기울이는 습관
- 교통사고 후 편타성 손상(Whiplash)
-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으로 인한 근육 긴장
통증은 목뿐만 아니라 전두부, 측두부, 귀 주변으로 방사통을 유발하며, 어지럼증이나 시야 흐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3. 흉쇄유돌근 스트레칭의 필요성
목빗근의 경직은 혈류를 방해하고, 두통·현기증·거북목 증상을 악화시킵니다. 정기적인 흉쇄유돌근 스트레칭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.
- 목과 어깨의 긴장 완화
- 편두통과 방사통 예방
- 자세 교정 및 혈류 개선
4. 흉쇄유돌근 스트레칭 5단계 방법
- 준비 자세: 의자에 허리를 곧게 세우고 어깨 힘을 뺀 채 앉습니다. 깊게 호흡하며 몸을 이완합니다.
- 머리 기울이기: 스트레칭하려는 쪽의 반대 방향으로 머리를 천천히 기울입니다.
- 고개 회전과 젖힘: 머리를 반대쪽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살짝 뒤로 젖혀 목빗근 라인이 당겨지도록 합니다.
- 손을 이용한 깊은 스트레칭: 반대손으로 머리 옆을 잡고 가볍게 당겨주되, 어깨가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- 유지와 호흡: 15~20초간 유지하며 깊게 호흡한 뒤 천천히 원래 자세로 돌아옵니다. 좌우 각각 3회 반복합니다.
5. 흉쇄유돌근 스트레칭 시 유의점
- 갑작스럽게 당기거나 과도한 힘을 주면 근육 손상이나 현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스트레칭 중 통증, 어지럼증, 메스꺼움이 발생하면 즉시 중단하세요.
- 목 디스크나 경추 협착증 등 기저 질환이 있다면 전문가 상담 후 진행합니다.
- 스트레칭 전후로 어깨와 승모근도 가볍게 풀어주면 효과가 더 좋아집니다.
흉쇄유돌근은 목과 어깨의 건강뿐 아니라 두통·현기증·거북목 예방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핵심 근육입니다. 정기적인 스트레칭과 바른 자세를 유지하면 통증 완화와 전신 혈류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. 오늘부터 간단한 흉쇄유돌근 스트레칭으로 목 건강을 지켜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