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] 전통시장 장보며 최대 30% 돌려받는 온누리상품권 환급 꿀팁
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는 소비자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나 종이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하면, 일정 비율의 금액을 다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즉, 같은 소비를 해도 실제 지출을 줄일 수 있는 현명한 소비 전략인 셈입니다.
특히 2025년에는 상생페이백 제도와 연계되어 카드 사용액 증가분의 20%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고, 전통시장에서 국산 농축산물을 구매할 경우 최대 30% 환급까지 가능합니다.
놓치지말고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 꿀팁을 모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목차
온누리상품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
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스마트폰 앱에서 충전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행사 기간에 맞춰 전통시장 가맹점에서 결제하면, 자동으로 환급금이 적립됩니다. 환급금은 보통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통해 지급되며, 지급 후 30일 이내 등록해야 합니다.
카카오톡 선물하기를 지금 바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.
온누리상품권 환급을 받기 위해서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이 필수입니다. 사용처는 전국 전통시장, 동네 슈퍼, 일부 음식점, 온라인몰 등 약 13만 개 가맹점에 달합니다. 앱에서 가까운 가맹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, 행사 기간에 따라 환급률이 달라집니다. 온누리상품권 앱을 간편하게 바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온누리상품권 종이 온누리상품권 환급
종이 온누리상품권은 액면가의 60% 이상을 사용했을 때 나머지 금액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1만 원권 상품권으로 6천 원 이상을 사용하면 나머지 4천 원을 현금으로 거슬러 받을 수 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전통시장 상인에게 직접 요청하면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 일부 점포에서는 잔액 현금 환급에 익숙하지 않을 수 있으니, 사전에 안내 문구가 있는 곳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온누리상품권 환급조건, 한도, 소득공제, 환급 중복
온누리상품권 환급은 회차별 최대 환급액이 2만원이며 월별 최대 환급액은 10만원 입니다. 3개월 행사 기준 총 환급액은 30만원 입니다. 즉, 생활비와 장보기를 전통시장에 집중하면 상당한 환급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
온누리상품권 환급은 개인별 기준으로 적용됩니다. 따라서 부부가 각각 앱을 설치해 사용하면 가구당 최대 80만 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온누리상품권 환급 혜택과 소득공제는 중복 적용 가능합니다. 즉, 상품권을 사용하면 환급 혜택을 받고, 동시에 사용 금액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소득공제 내역을 지금 바로 조회해보시기 바랍니다.
예를 들어, 100만 원을 사용해 20만 원 환급을 받고, 남은 80만 원에 대해서는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 절세와 생활비 절약을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.
3월 17일 ~ 28일 |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20% 환급 |
---|---|
8월 4일 ~ 9일 | 전국 130개 전통시장에서 국산 농축산물 구매 시 최대 30% 환급 |
9월 1일 ~ 11월 30일 | 상생페이백 프로그램, 카드 사용액 증가분의 20% 환급 |
연중 상시 | 종이 상품권 60% 이상 사용 시 잔액 현금 환급 |
온누리상품권 특별재난지역 환급 혜택
온누리상품권 환급은 최대 20%까지 받으실 수 있습니다. 2025년에는 특별재난지역(산불·호우 피해 지역 등 49곳)에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 시 20% 환급이 적용됩니다. 일반 지역의 10% 환급보다 두 배 높은 혜택입니다.
산청, 합천, 의령 등 주요 전통시장에서 진행되며, 행사 기간 동안 사용액에 대해 바로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
3월 17일 ~ 28일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20% 환급 행사를 하며, 8월 4일 ~ 9일은 전국 130개 전통시장에서 국산 농축산물 구매 시 최대 30% 환급이 가능합니다. 9월 1일 ~ 11월 30일 이 기간에는 상생페이백 프로그램, 카드 사용액 증가분의 20% 환급 가능하며 종이 상품권 60% 이상 사용 시 잔액 현금 환급은 연중 상시 가능합니다.